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

  • 사이트
  • 인강
  • 학원

신고대상 : 리유

게시글/댓글 신고

  • 취소신고
[고득점멘토 7기 리유] GRE Argument Essay 작성하는 법
리유 | 2022.06.01 | 조회 2497

안녕하세요, 리유입니다. 어제에 이어 또 다른 GRE Writing편으로 찾아왔습니다. 요즘 유학을 준비하기 시작하는 기간이라 GRE에 관해 질문을 하는 주변 친구들도 많고, 그 중에 특히 30분이라는 적은 시간 안에 Brainstorming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질문을 많이 받아 제가 학원에서 배웠던 공부 방법과 팁을 소개해드리고자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달아주시구요. 시작하겠습니다.


0. 들어가기 전에


아무래도 GRE 시험의 경우 토플보다 높은 수준의 어휘력 및 논리를 요구하면서, 이와 같은 시간에 일정한 분량 이상의 글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Brainstorming에 많은 시간을 쏟기 어렵습니다. Issue와 Argument는 각각 Brainstorming해야 하는 부분이 다릅니다. 오늘은 Argument Essay의 구성 요소 및 브레인스토밍할 때 사용하면 좋은 방법을 가져왔습니다. 다음번에는 Issue Essay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 Introduction


Introduction은 브레인스토밍이 거의 필요하지 않은 부분입니다. 주어진 Text의 주장을 정확히 정리해서 언급하시고, 다만 이 주장은 몇가지 uncertainties에 의해 조금 불확실하다고 언급해주세요. 저는 저만의 템플릿(굵은 글씨 하이라이트 처리)을 정리해 다음과 같이 작성했습니다.


The business manager of Happy Pancake House asserts in this memo that the replacement of butter with margarine throughout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was successful. The manager gives little evidence and moves on to say that this policy should be extended to other regions as well. However, the evidence given in the memorandum is thought to be considered weak due to some uncertainties.


2. Body Paragraph


Argument에서의 body paragraph는 조금 다릅니다. 이미 문제에 주어지는 text가 있고, 해야 하는 과제는 그 text를 얼마나 논리적으로 반박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본론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ext에서 주장에 사용하는 자료를 언급하며, 2. 이 자료를 사용해 어떤 부분을 넘겨짚어서 생각하는지 (It thereby assumes~) 지적합니다. 3. 이 부분이 왜 적절하지 않은지를 주장하며, 4. 이에 대한 예시 혹은 반례를 제시한 뒤 5. text에 어떤 자료가 첨가되었을 때 주장을 improve하거나 undermine할 수 있을지로 한 단락을 마무리합니다. 예시로 템플릿 하나를 가져왔습니다.


First of all, the argument readily assumes that… {first/biggest assumption}

This is merely an assumption made without much solid ground.

For example.. {provide examples or ask questions} Hence the argument would have been much more convincing if it explicitly stated that ….

The argument readily claims that/the author also points out that …/cites that … {second assumption}

This again is a weak and unsupported claim as it does not demonstrate any clear correlation between {A and B}. To illustrate further, {provide examples or ask questions}

If the argument had provided evidence that.....then it would have been a lot more convincing to the reader.

Finally, the author/someone cites/notes that {third/final assumption} However, careful scrutiny of the evidence reveals that it provides little credible support for the author’s conclusion in several critical respects, and raises several skeptical questions. For example, {ask three to four questions}. Without convincing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reader is left with the impression that the claims made by the author are more of a wishful thinking rather than substantive evidence.


출처: Crunchprep


이전 칼럼에서도 언급했듯이, Issue보다 Argue의 브레인스토밍이 훨씬 쉽습니다. 부족한 부분만 집어내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본론 구성대로 브레인스토밍을 하려면 머리가 잘 돌아가지 않습니다. Argument의 Brainstorming 과정의 경우, 실제 작성하는 Structure과 Brainstorming할 때 생각하기 쉬운 과정이 조금 다르기 때문입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2->1->4->5


사람은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정확하게 찾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대신에 일단 틀렸다고 주장하는 게 빠르죠. 그렇기 때문에, 3번에서 해당 주장이 일단 틀리다고 쓰는 게 더 쉽습니다. 일단 틀렸다고 쓴 뒤, 왜 틀렸는지 이유를 생각해서 쓰고, 그 다음에 틀린 자료를 지적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후에는 반례를 작성하고, 정확한 판단에 필요한 보충 자료를 작성하면 됩니다. 제가 작성했던 예시 body paragraph를 보여드리겠습니다.


(1번)The memorandum states that only 2 percent of customers complained, and (2번)assumes that 98 percent of customers were satisfied with the change. (3번)This assumption might not be true. The fact that 98 percent of customers did not complain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were content with the change. (4번)In restaurants, many people tend to keep their complaints to themselves due to many reasons; (반례들)the restaurant may be too quiet to raise your voice, you might not want to disappoint your partner by complaining about the food, or you are just too lazy to complain. Silence does not always mean satisfaction. (5번)The customer rate of satisfaction might need to be re-investigated, by handing out a survey or asking each customer personally.


저는 이 순서를 추천하는데, 쓰시다 보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부분이 근거일수도, 필요한 보충자료일수도 있습니다. 먼저 생각나는대로 작성하시고, 이를 나중에 순서에 맞게 조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니 글의 구성에 필요한 요소가 5가지인 것을 기억하셔서 요소를 모두 충족하도록 쓰시면 좋은 글 작성하실 수 있으시리라 생각합니다.

3. Conclusion


결론도 서론과 마찬가지로 간략하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저는 이 부분은 딱히 템플릿을 사용하진 않고, 해당 글의 주장을 다시 요약한 뒤, 이러한 주장은 더 많은 정보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라고만 작성했습니다. 다만 더 자세하게 쓰는 게 고득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모범 에세이의 템플릿을 보여드리겠습니다.


In conclusion, the author’s argument is unpersuasive as it stands. To bolster it further, the author must provide clear/better/more concrete evidence, perhaps by way of a reliable survey/a detailed analysis of~ Finally, to better assess/evaluate the argument/survey, it would be necessary to know more information about why/what/how ~




토플 라이팅과 동일하게, 더 이상 템플릿을 과도하게 활용해서 고득점을 맞는 시대는 지나갔습니다. 템플릿은 적절한 곳에만 사용하시고, 여러분의 언어로 GRE Essay를 만들어주시기 바랍니다. 응원하겠습니다. 궁금한 점은 댓글로 달아주세요. 이상, 리유였습니다.




윗   글
 [고득점멘토 7기 리유] GRE Issue Essay 작성하는 법(+템플릿)
아랫글
 [고득점멘토 7기 리유] Writing 3.5라도 맞고 싶었던 토종 한국인이 전하는 GRE Writing 공부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