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에 앞서
안녕하세요.
지난 1년 동안 미국 대학원 유학 준비를 하면서 많은 분의 도움을 받았고, 이에 조금이나마 보답하고자 제가 경험했던 준비 과정과 여러분들이 알고 계시면 좋을 듯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저는 국제학, 정책학, 행정학을 전공으로 유학을 준비하였기 때문에 이 부분에 초점을 두겠지만, 전반적인 사회과학 분야나 더 나아가 타 분야를 준비하시는 분들께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약소한 바램입니다.
지원하고 싶은 학교 결정
본인이 전공하고 싶은 분야가 확고하다는 전제하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학교입니다. 사전에 해당 학교의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각각의 지원 요구사항과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입학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없으면 안 되는 영어성적은 학교에 따라 요구 미니멈 점수가 다르므로 꼭 확인해야 할 사항입니다. 다음은 국제학, 행정학, 행정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학교 리스트입니다.
Harvard University John F. Kennedy School (HKS)
Princeton University Woodrow Wilson School (WWS)
Yale University Jackson Institute of Global Affairs (Jackson)
UCB Goldman School of Public Policy (Goldman)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SAIS)
Georgetown School of Foreign Service (SFS)
Georgetown McCourt School of Public Policy (McCourt)
Columbia University School of International and Public Affair (SIPA)
Duke University Sanford School of Public Policy (Sanford)
Tufts University Fletcher School (Fletcher)
Stanford University Ford Dorsey Program (IPS)
University of Chicago Harris School of Public Policy Studies (Harris)
University of Chicago Committee on International Relations (CIR)
Cornell Institute for Public Affairs (CIPA)
UT Austin LBJ School of Public Affairs (LBJ)
UCLA Luskin School of Public Affairs (Luskin)
UCSD School of Global Policy and Strategy (GPS)
USC Price School of Public Policy (Price)
American University School of International Service (SIS)
Syracuse University Maxwell School (Maxwell)
UPENN Fels Institute of Government (Fels)
객관적인 사실을 기반으로 정보를 드리자면, 위에 나열된 학교 중 가장 입학하기 어려운 학교는 프린스턴 대학의 우드로우 윌슨 스쿨입니다. 매해 1,000여 명의 인원이 사회 초년생을 대상으로 학업을 제공하는 MPA 프로그램에 지원하며 그 중 90여 명을 선발하여 최종적으로 70에서 80여 명의 학생이 입학합니다. 입학 경쟁률은 8~10%로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세계적인 명성으로는 하버드 케네디스쿨을 따라올 학교는 없다고 생각하고, 무엇보다 한국 동문이 케네디스쿨에 많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정책학교입니다. 추가적으로 한국에서 유명한 학교는 존스홉킨스대학의 SAIS와 콜럼비아대학의 SIPA입니다. 위에 나열된 학교 외에도 여러 학교가 있으니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행정학 및 정책학 프로그램은 사회초년생(2~3년 경력보유)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2년 코스와 중견직(5~8년 경력보유) 인원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1년 코스가 있으므로 자신의 경력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코스에 맞게 지원해야 하며 국제학 프로그램은 대부분 2년 코스입니다. 한가지 주의 사항은 학교마다 프로그램의 명칭이 다르므로 조심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프린스턴에서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2년 코스의 명칭은 MPA이고 중견직을 위한 1년 코스는 MPP입니다. 하지만 하버드는 그 반대이니 명칭으로 혼동하지 마시고 각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교육 과정과 대상을 확인하시기 바립니다.
그럼 MPA, MPP, IR, Global Affairs 등 여러 프로그램과 코스가 있는데 도대체 무엇이 다르냐? 그에 대한 답은 위 학교 중 한 곳에서 입학사정관으로 재직하시는 분이 주신 답변으로 대신하겠습니다
I wouldn’t focus too much on the degree title. You can do many of the same things in programs that call themselves MPP, MPA, MA in IR or Global Affairs, etc. Our program, with its flexibility, allows you to focus on policy if you wish to do that, have an international affairs focus, an area focus, etc. You can end up professionally doing similar things to a colleague who goes through a MPP program. I tell students to think about their two years as a chance to build up their intellectual and professional portfolio. You choose classes that will enhance your intellectual and professional breadth and give you the skills you want/need for the next stage of your career. We help you to think about what makes sense for you, what classes will help you work towards that goal. So with us you need to get out the of mentality of a “track” (that is, I’m in the public policy track, or public administration track, or IR track, etc.) You need to think about the skills you’ll need for your next stage of your career.
위 답변과 같이 결론적으로 그렇게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필수 코스가 조금 다를 뿐이지 결국 자신의 관심 분야에 맞게 elective courses를 선택하고 기술을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에서 같다고 생각합니다.
어떠한 요소가 입학의 당락을 좌우하는가?
일반적으로 미국 대학원 입학에 필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학교 졸업장 및 학점(GPA)
-영어성적 (GRE, TOEFL, GMAT, LSAT 등)
-추천서 (교수님, 직장상사, 동료 등)
-학업계획서 및 자기소개서(SOP) and/or 레주메
-일, 연구 경력
어떠한 경력을 보유하든 간에 절대 자신의 경력을 부정하면 안 됩니다. 예를 들어 국제학과 전혀 맞지 않은 학업과 일을 하였지만, 국제학 분야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어 자신의 과거를 부정하고 앞으로 계획을 설명한다면 이는 입학사정관에게 매우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방식으로든 자신의 경력을 연계하여 에세이를 작성해야 합니다.뚜렷한 목표와 세부적으로 미래 직업계획을 설명해야 합니다.Also, your essay must be very personal and unique. 이 말은 꼭 특이한 경험을 하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진솔한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과거 이러한 경험을 하였는데 여기서 나의 학문적, 경험적 부족함을 느끼고 당신의 학교에 가서 이러 저러한 수업을 A 교수님과 함께 들으며 성장하고 싶다. 이것을 바탕으로 졸업 후에는 어떤 분야에서 무슨 직책으로 일을 시작하여 이러저러한 목표를 달성하고 싶다." 이렇게 세부적인 비전이 자신의 과거 경력과 특정 학교 프로그램에 연관되어 SOP에 잘 나타나야 합니다.추가 사항으로 하버드 케네디 스쿨에서 작성한 에세이에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사항을 정리한 글입니다. - http://hksadmissionblog.tumblr.com/post/152307117293/fall-2016-previous-application-review-notes-post에세이 작성전에 읽어보면 좋은 정보글 입니다. - http://hksadmissionblog.tumblr.com/post/152818810283/fall-2016-previous-application-review-notes
-개별적으로 교수님에게 연락하지 않았고 굳지 연락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궁금한 사항은 프로그램 담당자에게 일차적으로 연락하는 것이 정상적인 과정입니다.-면접 없었습니다.-간혹 지원서 일부분으로 녹음하여 제출하는 옵셔널 인터뷰가 있습니다.-지원서를 제출하고 입학허가서를 받기 전까지 어느 학교에서도 개별적인 연락을 받지 않았습니다.-3월 10일에서 3월 15일 사이에 학교에서 이메일로 입학허과 관련 편지와 링크를 받았습니다.
Princeton WWSYale JacksonGeorgetown Global Human Development ProgramDuke SanfordUSC Price
'인생의 드림스쿨인 귀하의 학교를 가고 싶지만, 재정적인 부담으로 다른 학교에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라는 간절한 메세지를 전한다. 이때 어디에서 얼마를 받았다 이런 말을 하면 안 됩니다. 그 후, '한번 알아보겠다, 혹시 괜찮다면 어디에서 얼마를 받았냐?' 이런 답변을 받으면 긍정적인 신호이고, 여기에 대한 답변으로 다른 학교에서 받은 금액과 혜택을 알려드리면 됩니다. 가끔 실제 증거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