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OP - 고등교육, 교육정책 쪽 버전과 교육사회학, 성인평생교육 쪽 버전 총 2가지 버전을 만들었습니다. 2개 버전이라도 연구주제가 다른 것은 아니었습니다. 같은 연구주제지만 고등교육/교육정책 쪽은 조직과 거시정책적 부분에 보다 포커스를 맞추어 썼고, 교육사회학, 성인평생교육 버전은 개인/커뮤니티의 학습 관점에 집중해 썼습니다. - SOP 구조 (1100 words, 학교별로 맞춰서 줄임) 1문단: 나는 이 프로그램 이 전공에 지원한다. 내 연구 주제는 ~~이다. 이 주제 관련하여 박사과정에서 ~~를 연구하고 싶다. (3문장) 2문단: 이 연구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 개인적 계기 (일 경험) 3문단: 석사과정에서 답을 얻고자 했던 연구질문, 답을 찾기 위한 노력(연구경험), 그 과정에서 새로 생긴 연구질문 4문단 - 5문단: 새로 생긴 연구질문을 답하기 위한 노력(연구경험) 6문단: 새로 생긴 연구질문에 대한 나만의 답.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연구 질문 ----페이지 넘어감 7문단: 새로운 연구 질문에 대해 답을 얻기 위해 박사과정에서 연구하고 싶은 주제들. 이게 왜 중요한지 일 경험이랑 엮어서 씀. 8-9문단: 연구하고 싶은 주제들에 대해 가능한 이론적, 방법론적 접근들. 그러한 연구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적 스킬을 이미 익혀놨다. 박사 과정에서 더 발전시키고 싶고, ~~~~ 부분들은 배우고 싶다. 10문단: 이 학교 프로그램이 나랑 잘 맞는 이유 (1문장), 교수별 잘 맞는 이유 (2-3명, 대체로 3명) 11문단: publication, methodological skills, external scholarship에 대한 강조 - 나는 박사할 준비가 되었다. 박사 과정을 통해 ~~~이런이런 연구자가 되고 싶다.
2. CV 직장 구할 때 쓰는 Resume 스타일 보다는 교수님들이 많이 사용하는 형식을 따라했습니다. 여러 대학의 교수님들 CV를 보면서 대강 비슷하게 만들었습니다.
3. Writing Sample 석사논문을 영미권 저널에 투고하려고 준비하던 것이 있어 그대로 냈습니다. 페이지 수 제한이 있으면 서론~연구방법론 부분을 많이 줄이고, findings와 discussion은 조금 줄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