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

  • 사이트
  • 인강
  • 학원

신고대상 : 리유

게시글/댓글 신고

  • 취소신고
[고득점멘토 7기 리유] Writing 3.5라도 맞고 싶었던 토종 한국인이 전하는 GRE Writing 공부법
리유 | 2022.05.31 | 조회 2029

안녕하세요, 어느덧 GRE 관련해서 7번째 칼럼으로 찾아온 리유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고통받는 Writing에 대한 정보를 들고 왔습니다. 저도 사실 라이팅을 잘 하는 편은 아닙니다. 토플은 어찌저찌 템플릿을 활용하다 보니 27점이라는 좋은 점수를 얻었지만, GRE는 3.5점까지만 받고 마무리했습니다. 그래도 이공계생의 경우 라이팅 3.5점이라면 평타는 치는 점수이고, 이 점수가 목표이신 분도 많은 듯 해서 제 공부 방법을 공유해드리려 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달아주시구요. 시작하겠습니다.


1. GRE Writing 개요


GRE의 경우, 라이팅은 Issue Task Argument Task로 나뉘어집니다. Issue Task는 특정 주제에 대한 문장을 가지고 본인의 주장을 펼치는 글입니다. 토플과 비슷하지 않나 하고 생각하기 쉬운데, 문장의 깊이나 주장의 근거가 토플보다 논리적이어야 하기 때문에 토플 라이팅보다 어렵습니다. Argument task는 어떤 논설문(보통은 도시의 어떤 변화에 대해 찬성/반대 입장 중 하나로, 상당히 부족한 근거를 가지고 주장을 펼치는 글입니다)을 보고 이 글의 부족한 근거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보를 언급하며, 결과적으로 이러이러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논설문은 옳다고 볼 수 없다는 글을 작성하는 문제입니다. 두 글의 결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지만, 공통적으로 Brainstorming을 거쳐야 좋은 글을 쓸 수 있습니다.


2. Brainstorming


저는 학원에서 10분 동안 brainstorming 시간을 줘서 그 시간 동안 생각을 정리한 뒤 글을 썼습니다. 하지만 실제 GRE에서는 10분 동안 생각을 정리하고 글을 쓰려면 시간이 많이 부족하더라구요. 토플 라이팅과 동일하게 30분이라는 시간 안에 토플보다 더 높은 퀄리티의 글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Brainstorming은 10분보다 짧게 하셔야 합니다. 혹은, Brainstorming 하는 동시에 글을 작성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다 못해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으면 자주 쓰는 어구-흔히 템플릿이라고 하죠-를 먼저 타이핑이라도 해두세요. 미리 공통된 어구를 써두고 그 사이를 본인의 말로 채우는 게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Ex. In conclusion, the author’s argument is unpersuasive due to~/The argument claims to~/This is merely an assumption made without much solid ground. 생각보다 템플릿 자체의 고급 어법(?)을 잘 활용하면 본인의 생각을 말할 때 더 쉬운 단어나 어법을 쓰더라도 이 부분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3. Issue Task는 문제 은행 방식인 부분을 적극 활용하세요


대부분의 수험생 분들이 Issue task를 Argument task보다 어려워합니다. 저 또한 그랬습니다. 그리고 제 개인적인 추론으로는 Argument task는 4점 이상이 나왔을 것 같은데 Issue가 점수가 낮아 3.5점이 나온 것 같다고 생각중입니다(?). 그만큼 글에 전혀 의존하지 않고 본인의 생각을 쓰는 건 어렵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Issue task에는 기댈 곳이 존재합니다. 바로 문제 은행 방식이라는 점입니다.


실제로 Issue task의 문제들은 정확히 똑같지 않아도 주제가 비슷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제일 많이 나오는 부분은 교육, 정부 및 사회, 과학 및 기술, 리더쉽, 인간의 상태에 관한 문제(관계/발전/성향/성공 등)에 대한 문제들이고, 조금씩 베리에이션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대학원 교육을 모든 이에게 무료로 제공해야 하는가'와, '대학원 교육을 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 무료로 제공해야 하는가 아니면 가정이 불우한 학생에게 제공해야 하는가'가 있죠.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공부하면 대부분의 주제는 커버가 가능합니다.


3-1. 최대한 많은 문제들 읽어보기/문제에 대한 답변 작성해보기


GRE Writing은 주제가 돌아가면서 나오고, 따라서 일단 다양한 주제를 접해볼 경우 실전에서도 이미 읽었던 주제를 만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인터넷에 많은 빈출 문제와 모범 답안이 존재하니까 많이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읽는 거로 체화될 확률이 적기 때문에, 답변도 직접 써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GRE 모범 답안의 경우 예시를 굉장히 역사적인 일이나 실제로 존재하는 법률, 국제 조약의 예시를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글을 읽어보면서 그런 예시를 기억하도록 노력해 보시는 것도 도움이 많이 됩니다.


4. Argument Task


Argument Task는 어떤 논설문을 준 뒤, 그 논설문의 헛점을 파악해서 해당 논설문의 주장에 대한 어떤 근거가 부족하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어떤 정보 혹은 자료가 필요한지를 파악해서 적어도 2-3가지의 헛점을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글을 짜내야 합니다. 상대적으로 헛점만 공격하면 되기 때문에 점수를 얻기 쉽습니다. 다만 헛점 공격만 하면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없고, 이러한 부분의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자료가 있다면 해당 근거가 좀 더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자료를 생각해내는 부분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마찬가지로 모범 답안을 많이 읽어보세요. 또한, 대부분의 '자료'는 ~~에 대한 통계라거나, 설문 결과가 많습니다. 이를 기억해서 어떤 통계, 어떤 설문 내용이 더 논설문의 주장을 확실하게 뒷받침해주거나 반박할 수 있는 도구가 될지 고민하면서 글을 써보세요.


5. 템플릿


토플이 그렇듯이, GRE에서도 어느 정도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템플릿이 존재합니다. 다만 템플릿의 대부분이 문법이 복잡하고 외우기 어려운 단어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칫 템플릿을 완벽하게 외우지 못해 문법적 실수를 했을 경우 오히려 템플릿 사용 후 점수가 깎일 수도 있습니다. 양날의 검이기 때문에 본인이 익숙한 표현, 완벽하게 써먹을 수 있는 템플릿만 잘 선별하셔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Brainstorming 시 아이디어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 우선적으로 템플릿만 써놓으면 시간이 단축될 수 있겠죠.

https://crunchprep.com/?smd_process_download=1&download_id=1820


해당 주소를 통해 다운받을 수 있는 템플릿이 많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본인이 활용하기 좋은 표현, 어구 등을 본인만의 워딩으로 바꾸거나 정확히 외워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6. 높은 수준의 어휘 사용하기


마지막으로, 어휘 수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여러분은 GRE Writing을 접하며 보는 모범 답안들에서, GRE verbal 지문과 비슷한 뉘앙스를 느끼셨을 겁니다. 버벌에서 사용하는 단어(empirical), 고급 어휘(plethora of) 를 GRE Writing에서도 쓰는 것은 단순히 일상 단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글을 더 섬세하고 인상적이게 만들어 주고, 이는 곧 고득점으로 가는 길이 됩니다. 버벌을 공부하실 때 사용하는 단어들을 라이팅에서도 활용하셔서 두 배의 복습 효과를 누리시기 바랍니다.


그 외에도 비법노트에서 다양한 멘토 분들이 알려주신 비법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본인만의 템플릿을 제공해주신 글(토종 출신 유학생 2일 준비 후 Writing 4.5 후기), 고득점멘토 위캔두잇 님의 '[고득점멘토 위캔두잇] 영알못, 3달만에 GRE 라이팅 4.0 달성 팁' 등 좋은 공부법이 많이 있으니까요. 다만 공부법만 읽는 것보다 직접 공부를 시작하는 게 훨씬 도움이 된다는 진리 잊지 마시구요. 항상 그렇듯이 시작이 어렵지만, 직접 해보면 오히려 이해가 빠른 게 공부인 것 같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 궁금한 점은 댓글로 달아주세요.


윗   글
 [고득점멘토 7기 리유] GRE Argument Essay 작성하는 법
아랫글
 [고득점멘토 7기 리유] GRE 수업 활용 방법(feat. 형성이t, 윤반석t)